식용유쇼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당첨번호유출 조회 4회 작성일 2023-03-31 21:19:08 댓글 0

본문

'식용유'를 요리 대신,이렇게 활용한다고!? 식용유 활용법 4가지, 요리할 때만큼 유용하네! [유용한 정보]

'식용유'를 요리 대신,이렇게 활용한다고!? 식용유 활용법 4가지, 요리할 때만큼 유용하네! [유용한 정보]
평소 요리할 때 자주 사용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식용유인데요. 오늘은 식용유를 요리할 때처럼 유용하게 활용하는 법 4가지 소개합니다.
--------------------------------
★ Follow "-KR time" ✔:
• Youtube: https://goo.gl/FQhc4i
♥ CONTACT US:
» Email: quanganh52718@gmail.com
--------------------------------
© "- KR time" Youtube Partner

의학적으로 고른 "최고의 식용유 2개 & 유독성 식용유 12개"

Q. 포화지방이 건강에 좋다는 얘기는 잘못된 정보였나요?

포화지방식은 탄수화물 대체식이형태에서 다이어트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에도 좋다는 얘기는 상업적으로 굉장히 과장된 주장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해당주장은 주로 미용업계나 기능의학계쪽에서 많이 나오는 얘기인데, 의료계의 경우 질병과 관련된 사항들까지 반영하여 판단하다 보니 종합적인 해석이 조금 다릅니다.

보편적인 식이에서 포화지방을 많이 섭취할 경우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각종 심혈관계 질환이나 비만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이 뇌혈관을 막게 되면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장의 관상동맥을 막게 되면 심근경색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등 수많은 큰 문제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방대사 자체도 체내산도와 염증수치를 높이는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포화지방산이 건강에 좋다고 결론을 내리는 경우는 없습니다.

일부에서는 논문 몇 개 들고 와서 포화지방이 건강에 좋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곳들도 있는데, 이는 대부분 통계적 착시를 이용해 왜곡한 것들입니다. 예를 들면, 어디 소수부족 같은 곳들의 통계를 들고 와서 포화지방 많이 먹어도 심혈관질환이 적다는 식의 주장인데, 이는 산업이 덜 발전하고 가공식품 섭취가 적으며 의료보험체계 부실로 심혈관질환 통계마저 잘 잡히지 않는 등 모든 유리한 통계적 수단을 다 끌어 모은 곳들을 골라서 가져온 것들입니다. 표본을 맞춰 같은 미국인 내에서의 자료로 볼 경우, 포화지방 섭취가 많은 사람들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현재 포화지방제품이 미용업계나 기능의학계 등에서 매우 큰 수익원이다 보니 간혹 과도한 왜곡이나 음모론까지 지어내가며 선동하는 곳들도 있는데, 어쨌든 이쪽은 상업적으로 연관된 업계임을 감안하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현재 전 세계 공식 의료기관들은 일제히 포화지방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으며, 관련입장들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세계보건기구(WHO) \u0026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전문가협의보고서: 포화지방의 섭취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1일 섭취량의 10%를 넘지 않아야 함(고위험군은 ~7%).
-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포화지방의 섭취는 계속해서 줄이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
- 미국보건복지부(HHS): 포화지방의 섭취를 줄이면 전반적인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심장질환의 유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음.
- 미국심장협회(AHA): 포화지방의 섭취는 총 칼로리의 7% 이내로 줄일 것을 권장하며, 단일불포화지방 또는 다불포화지방이 함유된 식품으로 대체할 것을 권장.
- 영국국가보건서비스(NHS): 현재 영국인은 포화지방을 과다하게 섭취하고 있는 상태. 추후 심혈관질환 증가로 인한 사회비용증가예상.
- 영국심장재단(BHF): 현재의 포화지방 권장섭취량 하한선조차도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포화지방/트랜스지방/콜레스테롤의 섭취는 가능한 낮게 유지해야 함.
-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현재 한국인은 포화지방 과다섭취상태. 추후 심혈관질환증가예상. 포화지방 섭취는 총 칼로리의 7% 이내(15g 이내)로 줄여야 함.

References
https://www.ahajournals.org/doi/10.1161/CIR.0000000000000510
https://pubmed.ncbi.nlm.nih.gov/2862011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843598/
https://academic.oup.com/ajcn/article/89/5/1425/4596851?login=false
https://health.gov/sites/default/files/2019-10/DGA_Cut-Down-On-Saturated-Fats.pdf
https://www.nhs.uk/live-well/eat-well/different-fats-nutrition/
https://pubmed.ncbi.nlm.nih.gov/15321792/
https://food-guide.canada.ca/en/healthy-eating-recommendations/make-it-a-habit-to-eat-vegetables-fruit-whole-grains-and-protein-foods/choosing-foods-with-healthy-fats/
https://www.mfds.go.kr/brd/m_373/view.do?seq=33259
https://www.mfds.go.kr/brd/m_59/view.do?seq=358

*본 내용은 개인적인 소견이 아닌 의료계의 스탠다드를 준수한 가이드입니다.
*본 내용은 보편적인 균형식단기준이며, 저탄고지와 같은 탄수화물 대체식의 경우 별도로 취급됩니다.

--

Q. MCT오일/코코넛오일은 실온에서 액체인데도 혈관을 막나요?

포화지방이 굳어져서 혈관을 막는다는 내용은 직접적인 현상이 아닌 쉽게 비유한 표현입니다. 실제로는 여러 과정을 거쳐 혈중 LDL 콜레스테롤 등을 높이게 되고 이것이 혈관을 막게 됩니다. 이는 포화지방이 액체든 고체든 상관 없이 다 똑같습니다.


--

Q. MCT오일/코코넛오일도 다 나쁜가요?

해당 제품들은 중사슬지방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포화지방산 제품들인데, 이는 장사슬지방산인 동물성유지보다 체내흡수속도가 빨라서 포만감이 더 빨리 오고 빨리 사라지게 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건강면에서는 유아기 이후로 큰 차이랄 부분은 없습니다.

간혹 자연 포화지방은 좋고 가공된 포화지방은 나쁘다고 주장하는 곳들이 있는데, 차라리 그 반대에 가깝습니다. 포화지방산은 안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가공에 훨씬 강하며, 불포화지방산이야말로 가공 시 변질을 피하는 게 거의 불가능합니다. 자연산 포화지방을 추천하는 경우는 상업적 목적 말고는 특별한 게 없습니다.

--

Q. 참기름/들기름은 어떤가요?

시중에 파는 참기름/들기름은 대부분 열압착유이기 때문에 다른 정제유들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유기농마트나 좋은 오일을 취급하는 곳에서 따로 판매하는 냉압착유는 건강에 좋습니다. 해외에서는 참기름/들기름도 아예 엑스트라버진/버진/퓨어와 같은 식으로 구분해서 판매되기도 합니다.

참고로, 냉압착 참기름/들기름은 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요리용으로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

Q. 현미유는 어떤가요?

현미유 역시 정제유이기 때문에 다른 정제유들과 별 차이가 없습니다. 일부에서 말하는 영양이 좋다는 얘기는 시중에서는 거의 판매되지 않는 냉압착유 기준인데, 이쪽은 또 다른 냉압착유들처럼 열에 대한 안정성이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요리용 식용유로는 사용불가합니다.

참고로 현미유는 USDA 기준, 비타민 E는 높은 편이지만 이는 다른 식품으로도 섭취하기가 어렵지 않은 반면, 기름성분에서 중요한 오메가-3와 오메가-6의 함량비율은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1.6 : 33.4) 냉압착현미유 역시 굳이 추천드릴 만한 기름은 아닙니다. (*현미유 영양성분: https://fdc.nal.usda.gov/fdc-app.html#/food-details/171013/nutrients)

--

Q.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를 오븐이나 에어 프라이어 같은 200도 넘는 요리에 사용해도 되나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의 공식 발연점은 210도이지만 제품마다 편차가 있고 낮게는 180도 정도까지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요리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

Q. 프라이팬 달구거나 할 때 190도씩 올리기도 하고 그러는데 그럴 땐 어떡하죠?

그 정도에서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사용하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영상에서 해당 부분의 내용을 펭귄 개그씬으로 활용하다 보니 설명이 부족했던 것 같네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그 정도 고온 요리가 아닌 180도 이하의 일반적인 요리에 적합합니다.

--

Q. 식용유 업자 얘기이긴 한데, 정제유는 오히려 산패도가 0이고 엑스트라 버진은 열 가해지면 좋은 지방산들이 변질되기 때문에 정제유가 더 좋은 거라고 하던데 사실이 아닌 건가요?

정제 시 산패는 사실 이론적으로는 안 돼야 하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실제 정제과정은 진공에서 이루어지는 게 아니다 보니 불순물(공기)가 섞여 산패가 일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정제유는 화학물질을 투입하여 뽑아낸 기름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화학물질들이 다시 100% 걸러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래서 좋다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열이 가해지면 가장 먼저 타는 지방산은 오메가-3인데 이게 타는 시점이 발연점 근처입니다. 발연점 내에서는 상관 없는 상술이니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


*포화지방이 굳어져서 혈관을 막는다는 내용은 직접적인 현상이 아닌 쉽게 비유한 표현입니다. 실제로는 여러 과정을 거쳐 혈중 LDL 콜레스테롤 등을 높이게 되고 이것이 혈관을 막게 됩니다.
*본 영상의 내용은 보편적인 균형식단기준이며, 저탄수 고지방식과 같은 특수식단쪽은 별개입니다.
*핵산은 헥산(헥세인, Hexane)을 PD가 잘 모르고 오표기하였습니다. 헥산 또는 헥세인이 맞습니다.

*본 채널은 대한민국 식약처/FDA/WHO의 표준가이드를 준수합니다.
*본 채널은 국제기관의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기업펀딩논문은 채택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영상은 불특성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이체질/알레르기/관련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 또는 전문가와 별도의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괴팍한 박사님과 코믹한 펭귄이 쉽고 재미있게 전해주는 의학/건강/다이어트 전문 애니메이션 채널.
아주 그냥 구독과 좋아요를 누르고 싶다.

#굿닥터
#식용유
#요리기름
#올리브유
#아보카도유
Music by Kevin MacLeod
굿닥터 Good Doctor : 더보기 안 보시는 분들이 계셔서 여기에 추가내용 약간 남겨 놓겠습니다.

Q. 포화지방은 다이어트에 좋다?
저탄수고지방식에서 매우 제한적인 조건하에서는 가능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보편적인 탄단지균형식기준, 포화지방은 탄수화물과 함께 섭취 시 지방산이 세포흡수에서 우선순위를 차지하여 탄수화물은 사용되지 못하고 체지방으로 직행하도록 만듭니다. 따라서, 일부 제한적 특수식이 외 보편적인 식이에서의 포화지방은 다이어트에 매우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포화지방을 다이어트에 활용하려면 오직 저탄수고지방식 식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하여야 합니다.

Q. 포화지방이 식용유로 좋다?
A. 앞선 내용과 마찬가지입니다. 포화지방은 탄수화물과 함께 섭취 시 탄수화물을 체지방으로 직행시키기 때문에, 탄수화물과 많이 조리되는 식용유의 용도로는 매우 좋지 않습니다. 본 영상 역시 식용유를 초점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 포화지방군 제품은 추천하지 않았습니다.

Q. 포화지방은 건강에 좋다?
포화지방은 생존에는 필요하지만 건강에 좋은 건 아닙니다. 그래서 우리 몸에서는 이미 포화지방산은 굳이 식품으로 섭취하지 않더라도 체내에서 당을 지방산으로 적당히 변환시켜 사용하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즉, 식품으로 섭취하지 않고 놔둬도 몸 안에서 적절히 자동조절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영국심장협회에서는 포화지방 1일 권장량을 아예 0g으로 변경하는 논의까지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포화지방의 건강관련내용은 위의 <더보기>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Q. 포화지방은 안정된 상태라서 더 좋다?
가공정제식도 자연식보다 더 안정된 상태이고 유통기한도 훨씬 길지요. 그럼 정제식이 자연식보다 더 좋을까요? 아니지요? 안정된 상태와 몸에 좋고 나쁘고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Q. 포화지방은 부작용이 없다?
탄/단/지 중 그 어느것도 부작용 없는 영양소는 없습니다. 그런 건 포화지방제품 파는 비양심업자들이나 하는 소리입니다. 반론할 가치도 없는 주장이고, 그 소리 하는 사람은 그냥 거르세요.

Q. 미국심장협회는 기업들한테 돈 받는 곳이라 믿을 수 없다?
그럼 모든 협회가 회원사들의 회비로 돌아가지, 뭘로 돌아갈까요? 협회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지어낸 무지한 음모론입니다. 회비는 당연한 거고, 문제는 그걸 불투명하게 사용하거나 특정 기업에 유리하도록 집행한 적이 있는가 등이지요. 그런 건 들어본 적 없죠? 미국심장협회는 지금껏 전 세계 심장의료기술발전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한 곳 중 하나로 최고권위를 자랑하는 곳입니다. 특히, 심장수술관련해서는 중요한 성과를 이뤄낸 바들도 있지요. 당연히 관련업계에선 마음에 안 들 겁니다. 이들의 매출 중 포화지방제품이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보면, 그런 곳에서 찬물을 끼얹는 게 얼마나 싫을지도 이해는 가지요. 하지만 그런 근거 없는 음모론까지 믿어달라고 한다면, 저는 믿음을 보내지 않겠습니다.

참고로, 포화지방이 무조건 나쁘다는 건 아닙니다. 제한적인 플랜하에서는 충분히 다이어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제품판매를 위해 부작용을 감추고 과도한 포장에 음모/선동질까지 나아가는 건 많이 잘못됐다는 생각입니다. 관련 거짓말도 정말 많더군요. 중사슬지방산이 좋은 지방산이고 육류 등의 장사슬지방산은 나쁜 지방산이다? 거짓말이죠. MCT 오일은 좋다? 4살 넘어가면 의미 없죠. 포화지방오일을 피부에 바르면 좋다? 지들도 안 바를 겁니다. 다 자기네 제품들 팔아먹으려고 지어낸 거짓말들입니다. 그쪽에도 양심적인 사람들이 많이 있겠지만 비양심적인 사람들이 물을 많이 흐리고 있는 것 보면 안타까운 마음도 듭니다.

Q. 정제유는 산패가 안 된다?
어느 정제유 회사에서 그러던가요? 모든 기름은 공기와 접촉하는 동시에 산패가 시작됩니다. 정제과정을 진공으로 하는 회사가 있다면 거긴 예외로 인정하겠습니다. 영상에서 산패도도 다 공개해 놨습니다. 압착유가 버진등급 이상만 가도 정제유는 압착유한테 산패도에서 안 됩니다.

참고로, 정제유가 일부 압착유(특히 올리브유)보다 산패에서 유리한 건 압착유의 발연점이 넘어가는 시점부터입니다. 일반적인 가정조리온도에서의 정제유는 득보다 실이 더 많습니다. 단, 180도 이상 초고온에서는 올리브유(압착유)는 좋지 않고, 아보카도유(압착유)나 정제유가 더 나을 수 있습니다.

Q. 정제유의 헥산 함량은 기준치 이하라서 괜찮다?
헥산뿐만 아니라 모든 화학첨가물들은 식약처 기준치 이하로 첨가됩니다. 그럼 모든 화학첨가물들이 다 괜찮은 걸까요? 저는 절대로 아니라고 단언하겠습니다.

Q. 아보카도유의 환경문제관련.
여기서는 환경은 다루지 않고 건강측면에만 초점을 맞췄습니다. 그리고 사실 환경문제에 대해서도 다른 얘기가 많습니다. 올리브유협회와 기업들이 환경단체들에 전방위적인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들도 있고, 아무튼 여기선 건강 외 이슈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포화지방이 굳어져서 혈관을 막는다는 내용은 직접적인 현상이 아닌 쉽게 비유한 표현입니다(현장에서 쉽게 전달하려고 쓰는 비유). 실제로는 여러 과정을 거쳐 혈중 LDL 콜레스테롤 등을 높이게 되고 이것이 혈관벽을 막게 됩니다. 제작과정에서 비유만 남기고 다 편집되는 바람에 오해가 생길 수 있어 덧붙입니다.

*엑스트라버진 올리브유의 조리용도에 대한 부분은 유머코드가 가미되면서 전달이 다소 흐려진 면이 있는데, 그냥 제품에 따라 180 ~ 230도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가정조리에서는 대부분 문제 없고, 오븐/에어프라이어/튀김기 등 전문조리기구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더 많은 내용은 <더보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궁금할만한 내용 웬만한 건 다 찾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 영상 하단 <더보기> 필독
오후의 홍차 : 3분까지만 보는데도 너무 단순명쾌해서 속이 시원하다
하이헬로우 : 기름들을 이렇게 시원하고 깔끔하게 정리해주시다니,...특히 코코넛오일 구체적인 설명없이 먹어도 좋다와 아니다 의견이 분분했는데 아주 그냥 쏙쏙 들어오게 한방에 정리 해주셨네요. 엑스트라버전 생으로 먹을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쌤 최고예요 ^^
NextdoorUnni : 사실 200°C 넘어가는 오븐
레시피들도 있어서 저도 궁금했어요 -
요즘 식물성 기름보다 동물성이 좋다는
이야기들도 있던데 버터는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Janet H : 그동안 어렵게만 생각하던 것을 아주 깔끔히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UB) 식용유 어떻게 재활용하고 버려야 할까요? / 친환경 살림, 현명하게 일회용품 줄이는 방법 / 제로웨이스트 루틴 Zero waste Routine

안녕하세요. 꿀주부입니다.
오늘은 구독자님께서 궁금해하셨던
폐식용유 재활용 방법과 현명하게 버리는 방법을 준비했어요.
또한, 재활용하면서 친환경 살림에 재미를 찾아가고 있는 영상이에요.
우리 주위를 살펴보면, 재활용할 수 있는 것들이 생각보다 정말 많아요.

그럼, 오늘도 즐겁게 시청해주세요~
좋아요와 구독은 큰 힘이 됩니다.


#제로웨이스트 #친환경살림 #일회용품줄이기



제가 사는 아파트는 폐식용유 수거함이 없습니다.
수거함이 있는 곳은 꼭 폐식용유 수거함에 모아주세요.
폐식용유는 연료나 동물 사료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변기나 하수구에 버리면 기름이 관에 달라붙어서 막히게 됩니다.
기름응고제는 기름이 많을 경우에만 참고해주세요.
평소에는 기저귀, 강아지패드, 신문지 등에 적신 후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일반쓰레기로 버리시면 됩니다.
(국내 제품으로는 기름응고제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혹시 찾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아이스팩을 전자레인지에 너무 오래 돌리면 터질 수 있습니다.


가성소다 (수산화나트륨)
: 사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갑과 마스크, 긴팔을 착용해주세요.
가성소다를 녹일 때는 스텐용기나 두꺼운 유리용기를 사용하세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용기는 부식될 수 있어요.)
강염기로 피부에 닿았을 때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정말 조심하세요.
꼭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녹이세요.
정제수에 가성소다를 천천히 넣으셔야 합니다.
가성소다에 물을 바로 부으시면 급속하게 반응이 일어나 위험합니다.
가성소다를 녹일 때 열과 유독가스가 배출되니,
고개를 용기쪽으로 숙이지말고 몸을 최대한 멀리하세요.
가성소다수는 기름과 만나면 안정화가 됩니다.

비누를 자를 때는 장갑을 착용하고 자르세요.
비누를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한 달~두 달 정도 말려서 사용해주세요.



이 영상은 광고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bgm
https://artlist.io/song/65450/birthday
https://artlist.io/song/68645/friend-till-the-end
https://artlist.io/song/61247/a-postcard-from-home
https://artlist.io/song/73387/small-rainbows


instagram : https://www.instagram.com/honeyjubu/
Business mail : riaearin@gmail.com
Editing program : Adobe Premiere Pro
Camera Information : Sony6400



이 영상의 무단 도용 및 2차 편집 업로드 금지합니다.​
푸하하 : 꿀주부님 영상 볼 때 마다 환경에대해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ㅎ 마트 갈때도 장바구니 여러개는 물론 그냥 버리던 포도 포장 종이까지 이제는 모아다가 마트 채소코너에서 비닐봉투대신 포도종이에 싸오구요 .무상 종이봉투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해서 채소 담고 과일담아서 냉장보관해요 ㅋㅋ그냥 버리던 우유곽도 세척 후 김치 썰 때 쓰니 도마에 물도 안들고 정말 신세계 더라구여ㅎㅎㅎ 그리고 혼자 주방 정리하면서 꿀주부님 만큼실천 하진 못 하지만 “오늘도 내가 환경을 지켜냈군 후훗 “하면서 혼자 뿌듯해 합니다 ㅎ 요즘 살림하는 재미에 빠져 있어요 !!! ㅋ저는 요즘 꿀주부님 영상 올라오는 날만 기다리고 있답니다!!!
Angela Santiago Romero : Debes tener cuidado cuando haces jabón con sosa cáustica ya que tienes que esperar 2 meses antes de usarlo para que la sosa se saponifique y no sea agresiva para la piel. Una vez que lo hayas cortado debes envolverlo en papel secante (del de embalar) y dejarlo ese tiempo en un lugar ventilado hasta poder usarlo porque sino podría quemarte las manos del uso prolongado. Me encanta tu canal. Un saludo
Creases And Folds : Loved this! Often watch people using large amounts of oil to deep-fry, but they never tell us what we can do with the oil afterwards. So it always feels like a waste. But the idea of making a soap is such a good one!
Eouie Viense Princess Honeybee : Thank you for promoting sustainable living. Will definitely follow your footsteps. Hope social medias promote influencers like you.
sandy k : I have just found you and am so full of joy and appreciation for how you take care of your kitchen and home. You love the objects you use and they are growing in beauty with how you maintain them. I am wishing I had a place to purchase some of the lovely little implements. The design genius and simplicity of Asian cultures is so appealing. Thank you for loving the environment and Mother Earth. We have a ways to go here in the U.S. but many of us are trying.

... 

#식용유쇼핑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4,578건 222 페이지
게시물 검색
Copyright © aafood.co.kr. All rights reserved.  연락처: help@ggemtv.com